아래를 읽어보시면 축제의 기간·장소와 기본 컨셉은 물론, 과거-현재-미래 존의 구성, 라인업과 대표 프로그램, 교통·주차 팁까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.
축제의 기본 정보와 분위기
기간과 장소 요약
- 축제 기간: 2023년 8월 11일(금)부터 8월 17일(목)까지
- 운영 시간: 오후 2시부터 자정까지
- 무대와 부스 위치: 중앙로 일대(대전역 인근에서 옛 충남도청까지 포함)
축제 콘셉트와 기대 포인트
- 대전 0시 축제는 과거의 향수와 현재의 문화 예술, 미래 도시 비전을 한 공간에서 체험하도록 구성됩니다.
- 핵심 모티프는 대전의 추억을 되살리는 “대전 부르스”를 바탕으로 한 시간여행 형식의 플로우이며, 도심 곳곳에서 다채로운 공연과 체험이 펼쳐집니다.
구역 구성과 공간 체험
과거존의 매력 포인트
- 낭만적 추억을 모티프로 한 1950–1980년대 대전 체험관이 배치되고, 라디오 드라마 연출과 창작가요제 같은 공연이 진행됩니다.
- 과거의 거리감을 느끼게 하는 무대와 체험 공간이 집중되어 있어 옛 감성을 찾아보기 좋습니다.
현재존의 예술·문화 프로그램
- 대전의 현시점 문화예술을 선보이는 다양한 무대와 체험이 모여 있습니다.
- 프린지 페스티벌 구역과 현장 공연, 여러 창작 전시가 다채롭게 펼쳐져서 현재의 도시 문화를 한눈에 맛볼 수 있습니다.
라인업과 공연 일정의 핵심 포인트
대표 아티스트별 공연 정보
- 포레스텔라: 8월 15일 화요일 21:00, 중앙로 무대
- 코요태: 8월 17일 목요일 20:00, 중앙로 무대
- 김범수: 8월 11일 금요일 21:00, 중앙로 무대
- 에이핑크: 8월 12일 토요일 21:00, 중앙로 무대
- 아이키&HOOK: 8월 12일 토요일 21:00, 중앙로 무대
- 프로미스나인: 8월 12일 토요일 21:00, 중앙로 무대
- 김종국: 8월 12일 토요일 21:00, 중앙로 무대
- 울랄라세션: 8월 13일 일요일 21:00, 중앙로 무대
- 에일리: 8월 14일 월요일 21:00, 중앙로 무대
- 장윤정: 8월 16일 수요일 21:00, 중앙로 무대
- 김의영: 8월 11일 금요일 21:00, 대전역 무대
- 민수현: 8월 16일 수요일 21:00, 중앙로 무대
일정의 집중 포인트 및 현장 운영 팁
- 주요 공연은 중앙로 무대에서 집중적으로 개최되며, 시간표가 겹치는 구간도 있어 현장 동선 확보가 필요합니다.
- 대전역 무대와 중앙로 무대 간 이동 동선을 미리 파악하면 관람 편의성이 높아집니다.
주요 프로그램과 현장 체험 하이라이트
시간여행 퍼레이드와 플래시몹
- 대전 시간여행 퍼레이드: 8월 11일 18:00–19:30, 8월 17일 18:30–19:30
- 동선은 중앙로역에서 시작해 대전역 방향으로 진행되며, 도심 곳곳에서 플래시몹이 터집니다.
프린지 페스티벌 및 현장 체험
- 프린지 페스티벌: 현재존 구역에서 8월 11일~17일 14:00–18:00 사이 다채로운 체험 부스 운영
- 뉴트로 이머시브 체험 및 밤의 야외 프로그램 등도 함께 구성되어 있어 현장 감상이 다채롭습니다.
교통·주차 및 현장 이용 팁
교통통제 구간과 대중교통 활용
- 교통 통제 기간: 2023년 8월 9일 오전 5시부터 8월 18일 오전 5시까지(9일간)
- 통제 구간: 중앙로(대전역~옛 충남도청) 및 대종로(NC백화점~으능정이 네거리)
- 시내버스는 우회 운행, 자전거·전동킥보드 이용 제한. 지하철은 증편·연장 운행 예정으로 대중교통 이용 권장.
셔틀버스와 주차 안내
- 셔틀버스 요금: 성인 1,000원, 청소년 500원
- 노선 예시: 복합터미널↔우송대 서캠퍼스↔대전역 동광장 등 다수 경로 운행
- 주차 정보: 행사장 주변 및 시 전역에 무료/유료 주차장이 구분 운영
- 무료 주차 예시: 충남대(유성구 대학로 99), 목원대, 우송대, 한밭대, 대덕대, 대전과학기술대, 대전보건대, 우송정보대학, 대전시청, 월드컵경기장, 한밭운동장
- 유료 주차 예시: 건양대 메디컬 캠퍼스, 배재대, 한남대, 대전대학, 한밭수목원, 엑스포과학공원
- 현장 안내: 행사장 인근의 주차 정보를 확인하고, 원활한 방문을 위해 대중교통 이용을 권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