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T의 데이터쉐어링 서비스는 LTE 및 5G 모뎀이 탑재된 스마트 기기에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입니다. 이 서비스는 메인 회선의 데이터를 다른 스마트 기기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. 아래에서는 데이터쉐어링의 특징과 유심 구매 및 개통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.
데이터쉐어링 서비스 개요
데이터쉐어링의 장점
- 편리한 데이터 공유: 스마트폰의 데이터를 다른 기기와 쉽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.
- 비용 효율성: 별도의 요금제를 추가하지 않고도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모바일 기기 활용: 노트북이나 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에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.
요금제 옵션
현재 KT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쉐어링 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.
| 서비스 | 가격 |
|---|---|
| 5G | 월 5,000원 |
| LTE | 월 8,250원 |
이 요금제는 무료로 데이터쉐어링 1회선을 제공하며, 초이스요금제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합니다.
유심 구매 방법
준비물
KT 데이터쉐어링을 개통하기 위해 필요한 준비물은 다음과 같습니다.
– 메인 회선이 적용된 스마트폰
– USIM 또는 eSIM: eSIM을 선택할 경우, 해당 기기가 Wi-Fi 또는 핫스팟을 통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.
유심 구매 채널
유심은 오프라인 대리점 없이도 손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. 가까운 편의점(GS25, emart24, CU)에서 ‘KT 바로유심'(8,800원)을 구매하거나, 온라인(KT닷컴, 네이버 N스토어, G마켓, 알리익스프레스)에서도 구매할 수 있습니다.
셀프 개통 방법
개통 절차
- 신청 웹사이트 접속: kt 데이터쉐어링 서비스 신청 웹사이트나 공식 모바일 앱에 접속합니다.
- 기기 선택: 데이터 공유를 원하는 기기(예: 노트북)를 선택합니다.
- 본인 인증: [PASS], [네이버 인증서], [신용카드] 중 한 방법으로 본인 인증을 진행합니다.
- 유심 번호 입력: 준비한 유심 번호를 입력하고 유효성 체크를 합니다.
- 요금제 선택: 메인 회선과 데이터쉐어링 요금제를 확인하고 선택합니다.
- 희망 번호 설정: 데이터쉐어링 회선에서 사용할 번호를 선택합니다.
이 모든 과정이 완료되면 “개통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.”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. 이후 [마이 케이티] 앱을 통해 개통된 회선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데이터쉐어링 활용 팁
핫스팟 대체
KT의 데이터쉐어링 서비스는 핫스팟 기능보다 더 매력적입니다. 핫스팟 기능은 배터리 소모가 크고 연결 거리의 제약이 있지만, 데이터쉐어링은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데이터 사용을 제공합니다.
유의사항
- Wi-Fi 전용 아이패드나 갤럭시탭과 같은 모뎀이 없는 기기는 데이터쉐어링 상품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.
- 셀룰러 스마트워치의 경우, 데이터쉐어링이 아닌 ‘데이터투게더’ 상품에 가입해야 합니다.
자주 묻는 질문
질문1: 데이터쉐어링을 이용하면 어떤 기기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나요?
데이터쉐어링 서비스를 통해 노트북, 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질문2: 유심 구매 후 개통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?
구매한 유심으로 신청 웹사이트 접속 후 본인 인증, 유심 번호 입력, 요금제 선택 등 간단한 절차를 통해 개통할 수 있습니다.
질문3: 데이터쉐어링 회선은 언제 해지되나요?
메인 회선의 해지 또는 명의 변경 시 데이터쉐어링 회선은 일시정지되며, 14일 후 자동 해지됩니다.
질문4: 데이터쉐어링 요금제는 어떻게 선택하나요?
개통 과정에서 메인 회선과 데이터쉐어링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으며, 5G와 LTE 중 원하는 요금제를 선택하면 됩니다.
질문5: 유심은 어디에서 구매할 수 있나요?
유심은 가까운 편의점이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.
이전 글: 일본 키보드에서 한영 변환하는 방법